“인적 자원에 대한 고민을 가진 기업의 핵심 리더들을 위한 고품격 강연 & 고밀도 네트워킹 자리”

HR TECH

LEADERS DAY

✓ 일시 : 2025년 5월 08일(목) 10:00~17:10

✓ 장소 : 슈피겐홀(선정릉역 도보 7분) / 온라인 LIVE 생중계

00

days

00

hours

00

minutes

00

seconds

HR Tech Leaders Day 시즌3에서 전하는 이야기

MBTI about HR (HR에 관한 방법·브랜딩·기술·영감)

Method(방법)
Branding(브랜딩)
Technology(기술)
I-inspiration(영감)

기술과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여러분의 조직과 구성원 ‘MBTI’는 어떻게 되나요? 또 여러분은 구성원들의 서로 다른 MBTI를 어떻게 파악하고, 조율하고, 상호 시너지를 내나요?


지디넷코리아가 주최하는 < HR 테크 리더스 데이 시즌3 > 에서는 인적 자원에 관한 최신 M(방법)·B(브랜딩)·T(기술)·I(영감)를 알아보고, 기업/기관 리더들의 인재 경영·성장·협업에 대한 고민을 해결합니다.


국내 최고 HR테크 기업과 전문가, 현직자들이 모여 더 크고 빠른 성장을 바라는 기업과 HRer들에게 특급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PROGRAM

10:00~10:30 - (30')

[Opening Speech] 떠나는 신입, 머무는 신입-진단도구로 이해하는 신입사원

인크루트 | 문상헌 CBO

연사 정보

10:30~11:00 - (30')

[Keynote1]HR Tech와 디자인, 그리고 페르소나

휴먼컨설팅그룹 | 이하진 AI x HR R&D Center Program Director

휴먼컨설팅그룹 | 강진수 talenx R&D Center UI/UX 디자이너(디자인 총괄)

연사 정보

11:00~11:30 - (30')

[Keynote2]Data-First: AI 시대를 준비하는 HR 로드맵

플렉스 | 김진희 리드

연사 정보

11:30~11:40 - (10')

[Special Speech1]TBD

고용노동부

11:40~13:00 - (80')

Lunch Break & Networking

Session1.
HR Tech
‘일잘러’ HRer들은 어떤 스마트한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시장 혁신을 이루고 있는 업계 선구자들이 최신 HR테크 트렌드와 전략을 제시합니다.
13:00~13:20 - (20')

[현직자 강연1]리ː디자인 HR (조직문화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

SAP Korea | 오용석 기업문화총괄 최고문화전문가

연사 정보

13:20~13:40 - (20')

[주제강연 1]사람인 AI, 인재 매칭을 넘어 HR 시장을 혁신하다

사람인 | AI LAB 김정길 실장

연사 정보

13:40~14:00 - (20')

[주제강연 2]AI 기반 성과관리를 만드는 3단계

디웨일(클랩) | 구자욱 대표

연사 정보

14:00~14:20 - (20')

[주제강연 3]TBD

스펙터 | TBD

14:20~14:30 - (10')

Break Time

Session2.
HR Technic
효과적인 HR을 위한 다양한 노하우와 사례 등을 공유합니다.
핵심 인재 채용과 관리, 좋은 사내문화 정착을 위한 복지 방안 등 HR 전문가들이 나만의 비밀 HR 기법들을 풀어냅니다.
14:30~14:50 - (20')

[현직자 강연2]아마존과 요기요에서 배우는 실용적 HR Tech 인사이트

더:미 | 원미영 대표

연사 정보

14:50~15:10 - (20')

[주제강연 4]대잔류 시대 : 채용 관리를 넘어 채용 성공으로

두들린(그리팅) | 김필재 사업전략이사

15:10~15:30 - (20')

[주제강연 5]HR의 첫 단추인 '진단', AI가 만능이 아닌 이유

데이원컴퍼니 | 신건호 본부장

연사 정보

15:30~15:50 - (20')

[주제강연 6]변화하는 임직원 건강 관리 시장의 미래

헤세드릿지(달렘) | 신재욱 대표

연사 정보

15:50~16:00 - (10')

Break Time

Session3.
HR Tech Tree
나와 구성원들의 성장이 고민이라면 HR 테크 트리 세션에 주목해주세요.
핵심 인재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부터, 구성원 모두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리더십 교육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16:00~16:20 - (20')

[주제강연 7]AI와 HR, 글로벌 인재 키우기

스픽이지랩스코리아 | 홍연승 한국 지사장

연사 정보

16:20~16:40 - (20')

[주제강연 8]2025 Chat GPT 실무 활용 리포트: HRD담당자를 위한 생성형 AI 교육 전략

에이블런 | 박진아 대표

연사 정보

16:40~17:10 - (30')

[Special Speech2]프로텍터십 – 우리는 서로의 버팀목이다

고운세상코스메틱 | 이주호 대표

연사 정보

* 상기 프로그램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장소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446, 슈피겐홀 B2
(선정릉역 3번 출구 도보 7분)

공지사항

  • 등록 관련 안내

    본 행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유료 행사입니다. 사전등록 후 행사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인원이 제한되어 있는 행사이기에 현장에서 등록은 제한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등록하기

  • 주차 관련 안내

    행사장 사정으로 인해 주차 제공은 어렵습니다.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 부탁드리며, 차량 이용시 인근 주차장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식사 및 다과 안내

    오프라인 참석자 대상으로 간단한 중식을 제공합니다.

  • 오시는 길 안내

    행사장소 : 문화공간 슈피겐홀B2 (선정릉역 3번 출구 도보 7분)

    오시는 길: 오시는길

FAQ

행사에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speaker Bio image

[Opening Speech] 떠나는 신입, 머무는 신입-진단도구로 이해하는 신입사원

신입사원 10명 중 6명이 입사 1년을 채우지 못하고 회사를 떠난다. 신입사원들은 어렵게 취직한 직장을 왜 떠나는 것일까? 여기에는 현재 직장의 문화와 Z세대만이 가진 특징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가 결부 돼 있다. 기업들은 떠나는 신입사원들을 붙잡기 위해 이른바 '핏'이 맞는 사원을 뽑는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온보딩을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장기 근속자로 남을 신입사원을 가려낼 수 있는 HR 진단도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인사담당자들이 가장 궁금해 할 장기근속자가 될 신입사원을 뽑고 육성하는 방법에 대해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공유한다.

 

인크루트 | 문상헌 CBO

현) 인크루트주식회 CBO
전) 사람인에이치알 그룹장

speaker Bio image

[Keynote1]HR Tech와 디자인, 그리고 페르소나

HR은 AI와 데이터 기술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곧 HR Tech를 실현하는 것일까요? 이 강연에서는 HR Tech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적용하기 위해 고민해 보아야 할 ‘디자인’과 ‘페르소나’에 대해 알아보고, 기술을 넘어 조직과 구성원을 위한 최적의 HR Tech 활용 전략을 제시합니다.

 

휴먼컨설팅그룹 | 이하진 AI x HR R&D Center Program Director

현) 휴먼컨설팅그룹 AI x HR R&D Center
전) 신한은행
전) 이언그룹
전) 휴먼컨설팅그룹 Consulting BU
전) 휴먼컨설팅그룹 Digital HR Lab

현재 휴먼컨설팅그룹 AI x HR R&D Center에서 Program Director를 맡고 있습니다. HR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다양한 조직의 인사관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쌓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AI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HR 솔루션 기획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HR Tech 도입 시 조직과 구성원의 실제 요구를 반영하는 데 집중하며, 보다 효과적인 디지털 HR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휴먼컨설팅그룹 | 강진수 talenx R&D Center UI/UX 디자이너(디자인 총괄)

현) 휴먼컨설팅그룹 talenx R&D Center

HR SaaS 솔루션 분야에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경험을 쌓아온 UI/UX 전문가로, 현재 HR All-in-One SaaS talenx 서비스의 디자인팀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전략적 인사관리(S-HR)와 운영적 인사관리(O-HR) 프로세스를 기업 규모별로 최적화하며, 각 업무 담당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입니다.

speaker Bio image

[Keynote2]Data-First: AI 시대를 준비하는 HR 로드맵

최신 기술을 활용한 HR 혁신이 뜨거운 화두입니다. 다양한 논의와 시도가 전개되고 있지만, 막상 이를 성공적으로 실현해 낸 조직은 드뭅니다. 최신 기술 도입으로 기대하는 효과와 현실 사이의 괴리는 무엇에서 비롯할까요? AI 시대를 향한 HR 로드맵에서 흔히들 간과하고 있는 missing link는 과연 무엇일까요? flex는 이것을 '데이터 전략'의 부재라고 진단합니다. 우리 조직만의 데이터가 짜임새 있게 축적되지 않았다면, 아무리 뛰어난 AI 모델도 우리 조직에 최적화된 인사이트와 솔루션을 제시할 수 없는 까닭입니다. 이번 키노트에서는 AI 시대를 준비하는 HR 로드맵을 제시하고, 그 중에서도 데이터 전략과 활용의 중요성을 짚어 봅니다. 아울러 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해법을 공유합니다.

 

플렉스 | 김진희 리드

현) 플렉스 주식회사 컨설팅팀 리드
전) 주식회사 외식인 영업마케팅팀 리드 / 품질사업본부장
전) (주)월향 신사업개발 총괄 관리자

SaaS형 올인원 HR 플랫폼 ‘플렉스(주)’의 컨설팅팀 리드입니다. 고객과의 최접점에서 맞춤형 컨설팅 및 세일즈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B2B SaaS 기업에서 영업·마케팅 리드 및 사업본부장을 역임하며 세일즈 프로세스 기획, CX전략 설계, 정부 지원사업 및 IR 등의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산업군과 직무를 아우르며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speaker Bio image

[현직자 강연1]채용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핵심 전략

많은 조직이 수평적인 문화를 말하지만, 여전히 수직적 구조 속에서 고민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건 구조가 아니라 ‘제도와 관점의 리디자인’입니다. 단순히 직급을 없애고 자율좌석을 도입한다고 수평적 문화가 형성되지는 않습니다. 평가체계, 보상구조, 권한위임까지 직원의 관점에서 재설계해야 합니다. 우리에게 경험하는 인사제도가 너무 익숙한 탓에 잘못된 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저 따라가기만 한다면 우리는 미래를 놓쳐버릴 것입니다. 변화된 시장 환경속에서 우리는 직원들에게 심리적 안전감을 제공하고, 협업이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합니다. HR의 역할은 이제 문화 그 자체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하는 방식의 변화’ 설계하고 데이터로 검증하는 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조직문화 진단, Pulse Check,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직원경험의 불일치를 찾아내고 개선하는 과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문화의 변화를 넘어, 디지털 시대의 일하는 방식(Future of Work)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SAP Korea | 오용석 기업문화총괄 최고문화전문가

현) SAP코리아 기업문화총괄 최고문화전문가
현) 정부 인사혁신처 정책자문위원
전) 삼성중공업 인사기획팀 인재육성파트 글로벌 리더십 라인장

SAP 기업문화총괄 최고문화전문가로 2020년부터 정부 인사혁신처 근무혁신 포럼 발제자 및 전 중앙정부 인사혁신수준 진단 평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조직문화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해왔습니다. CEO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워크, 근무혁신, 조직문화 주제로 강연과 자문을 이어가며, 성과 중심의 조직문화 설계에 강점을 지닌 국내 대표적인 조직문화 전문가입니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1]사람인 AI, 인재 매칭을 넘어 HR 시장을 혁신하다

기업의 경쟁력은 인재 확보에서 시작되지만 채용 과정의 전반의 비효율, 기대만큼의 지원자 유입이 적은 문제, FIT한 우수인재 확보의 어려움 등 여전히 채용 과정에서 인사 담당자들이 겪는 고충이 많다. 사람인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AI를 채용 전반에 적용해오고 있다. 채용 패키지, AI 모의면접, 구직자의 스킬/역량 향상까지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기업에 FIT한 인재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사람인이 그리는 AI 기반 HR 업계의 미래를 살펴본다.

 

사람인 | AI LAB 김정길 실장

현) ㈜사람인 AI LAB 실장
전) ㈜코난테크놀로지 검색 컨설턴트

"코난테크놀로지에서 10년간 검색엔지니어로 시작해서 컨설턴트를 거쳐 PM으로 성장해왔고 CJ 헬로비전의 추천 서비스와 LG U+의 Text To Video 사업을 총괄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구축했습니다. 사람인에서는 검색, 추천을 포함한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 연구개발을 리딩 해오고 있습니다. 잡포탈을 넘어 채용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시키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 니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2]AI 기반 성과관리를 만드는 3단계

많은 영역에서 AI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과관리 영역에 AI를 도입하는 것은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클랩팀이 성공적인 AI 도입을 위해 거쳐야 할 3단계를 제시합니다. 각 단계별 사례를 통해 우리 조직이 어느 단계에 위치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디웨일(클랩) | 구자욱 대표

현) 디웨일 CEO
전) 삼성그룹 사내벤처 대표
전) 삼성그룹 HR/협업시스템 PO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3]스킬 기반 HR과 조직으로의 변화

- 기존의 역량 진단 모델이 지닌 한계 : 기업 관점, 구성원 관점
- 스킬 진단 활용 사례 및 실제적인 가이드라인
- 패스트캠퍼스가 제시하는 직무별 표준 스킬 레벨 기반의 Skill 진단 서비스 'Skillmatch'소개

 

데이원컴퍼니 | 이강민 대표

現) 데이원컴퍼니 대표(CEO)
前) 패스트트랙아시아 창업교육팀 사업개발 매니저

speaker Bio image

[현직자 강연2]아마존과 요기요에서 배우는 실용적 HR Tech 인사이트

글로벌 기업 아마존은 '바 레이저(Bar Raiser)' 제도에 1년 이상의 트레이닝을 투자하며 "스타트업들의 집합체"라는 독특한 조직문화와 명확한 리더십 원칙으로 강력한 정체성을 구축했습니다. 반면 요기요는 "전화하면 '요기요가 뭐죠?'라는 질문을 받던" 초기 단계에서 "You tell me, you are the expert" 철학으로 글로벌 전략과 현지 전문성을 융합하며 급성장의 도전을 창의적으로 극복했습니다. 이 강연은 두 기업의 상호보완적 사례를 통해 한국 기업 환경에 적용 가능한 HR Tech 전략을 제시합니다. 요기요의 효율적인 채용 시스템 구축, '요기요 패스' 개발 등 데이터 기반 혁신 사례, 그리고 조직 확장 과정에서 HR이 주도한 문화 정착 방법론을 실제 노하우와 함께 공유합니다. 궁극적으로 이상적 시스템보다 현실에 맞는 유연한 적용이 핵심이며, 높은 시야를 유지하되 현실적 출발점에서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방법, 제한된 자원 속에서도 혁신을 이끌어내는 HR Tech의 실용적 활용법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제시합니다.

 

더:미 | 원미영 대표

현) 더 미(The Me) CEO & Founder
전) 필립모리스 코리아 Manager, Talent Acquisition
전) 아마존웹서비시즈 코리아 Korea Program Manager, Early Careers
전) 위대한상상(요기요) Learning & Culture Manager
전) 필립스 코리아 Consultant, Talent Acquisition
전) 제네럴일렉트릭 코리아 Specialist, Talent Acquisition
전) Berkley Recruitment Group Associate Consultant, Pharmaceutical & Life Science
전) (사) 더나은세상 Program Officer, External Relations

16년 차 피플 & 조직 전문가. 아마존, 요기요, 필립스, GE 등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에서 채용·조직문화·리더십 개발을 주도하며 조직 성장과 인재 전략을 설계했다. "성장의 새로운 공식을 만듭니다"라는 비전으로 다양한 규모의 기업에 최적화된 HR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는 HR 컨설팅 및 커리어 코칭 기업 『더 미(The Me)』의 대표이자 HR 전문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4] 미국 사례로 보는 한국 기업의 당면 과제와 경력직 채용 전략

현재 대한민국 경력직 채용 시장은 기술 혁신과 인구구조의 전환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거대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본 강연은 지금의 한국 시장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던 2000년 후반 미국의 채용 시장의 문제와 해결 과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보다 20년 앞서 해답을 찾아간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사례를 기반으로 한국 경력직 채용 시장의 당면 과제를 분석하는 한편, 오늘날 기업이 취할 성공적인 채용 전략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1. 한국 경력직 채용 시장의 당면 과제
• 인구 구조 변화와 기술 혁신에 따른 노동 공급과 수요의 전환
•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변화하는 직장인의 일 가치

2. 케이스스터디: 미국 경력직 채용 시장
• 2000년 후반 미국 노동 시장의 변화
• 빅테크 기업들이 채택한 채용 전략 비교

3. 한국 기업의 적용 과제와 성공적 채용 전략
• 한국 경력직 채용 시장 적용에 따른 기대 효과와 한계
• 한국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채용 전략

 

블라인드 | 전유정 한국 사업 총괄

現) 팀블라인드 블라인드 한국 사업 총괄
前) 네오위즈 글로벌 게임 사업 전략 본부장
前) 컴투스 경영 전략 실장
前) SK컴즈 네이트온 사업 전략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5] HR의 첫 단추인 '진단', AI가 만능이 아닌 이유

기업의 HR 활동은 교육, 인력 재배치, 채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며, 이 모든 활동의 출발점은 ‘사람의 역량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입니다. 최근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직무, 역량, 스킬에 기반한 다양한 AI 진단 도구가 등장하고 있지만, AI가 모든 HR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 합니다. 사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각 기업이 처한 상황과 맥락에 맞춰, 교육, 재배치, 채용 단계에서 겪는 Pain Point를 정확히 짚고 해결할 수 있는 AI 기반의 ‘맞춤형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데이원컴퍼니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AI 진단 도구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면평가, 인터뷰, 상사평가 등 다양한 방식의 평가를 결합해, 기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역량을 더욱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통합 AI 진단 솔루션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데이원컴퍼니 | 신건호 본부장

현) 데이원컴퍼니 B2B교육본부 본부장
전) 두잇 Product Owner
전) A.T.Kearney 전략 컨설턴트
전) NICE 채권평가사 금융공학연구원(전문연구요원)

전략 컨설턴트로 화학∙디스플레이∙가전기기∙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미래 전략 및 공정 효율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제조업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췄습니다. 또한 실제 업무 환경에서 프로세스별 생성형 AI 도입을 추진, 성과를 창출해왔습니다. 데이원컴퍼니 입사 후, 전사 생성형 AI 도입 TF의 장으로서, 핵심 과제를 설정해 내부 인력 투입 혹은 외주 비용을 완전 제거해냈습니다. 현재는 기업의 현업에서 겪는 문제를 단순 AI 자동화가 아닌 비즈니스 전략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생성형 AI를 활용해 기업의 핵심 과업을 해결하는 기업교육 사업을 리딩하고 있습니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6] 변화하는 임직원 건강 관리 시장의 미래

기업 복지는 더 이상 ‘혜택’이 아닌 ‘성과 전략’의 핵심입니다. 특히 MZ세대와의 공존, 리텐션, 조직 몰입도 향상에 있어 임직원 건강 관리는 실질적 해법이 되고 있습니다. 본 강연에서는 코로나 이후 변화한 웰니스 트렌드와 기업 HR이 주목해야 할 건강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을 공유합니다. 또한 ‘달램’이 실제 공공기관 및 기업과 함께한 맞춤형 건강 솔루션 사례를 통해, 조직에 적합한 웰니스 전략을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지 인사이트를 전달드립니다.

 

헤세드릿지(달렘) | 신재욱 대표

현) 헤세드릿지 대표


샌프란시스코주립대 국제관계학 전공 중 창업에 뛰어들어, 현재 B2B 웰니스 플랫폼 ‘달램’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헤세드릿지 대표.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맞춤형 건강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7] AI와 HR, 글로벌 인재 키우기

AI 시대에 글로벌 초격차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이제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임직원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 그들이 세계 무대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세션에서는 AI가 글로벌 인재 육성에 어떤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HR/HRD 전략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AI를 활용해 언어 장벽을 넘어 실질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방법부터, HR 부서가 AI 솔루션과 함께 임직원의 역량 개발을 실질적으로 이끌어내는 방법까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스픽이지랩스코리아 | 홍연승 한국 지사장

현) 스픽이지랩스코리아 General Manager, Korea
전) 페이스북/메타 아태본부 Product Marketing Manager
전) 다노 최고 운영책임자(COO)
전) 페이스북/메타 아태본부 Product Marketing Manager
전) 구글코리아 아태본부 Product Marketing Manager


2023년 스픽에 합류하여 현재 한국 지사장(General Manager, Korea)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페이스북/메타 아태본부에서 프로덕트 마케팅 매니저를 역임했으며, 다노에서는 최고 운영책임자(COO)로 근무했습니다. 또한, 구글 코리아 및 아태본부에서 프로덕트 마케팅을 담당하며 글로벌 기업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speaker Bio image

[주제강연 8] 2025 Chat GPT 실무 활용 리포트: HRD담당자를 위한 생성형 AI 교육 전략

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에 대한 기업교육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Chat GPT는 조직내에서 얼마나 잘 활용되고 있을까요? 본 세션에서는 기업 재직자 2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에이블런의 ChatGPT 실무 활용 현황조사를 토대로, HRD 담당자들이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AI 활용 전략과 교육 방향을 제시합니다.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직무·기업 규모별 활용 패턴 뿐만 아니라 조직 내 AI 교육 로드맵과 가이드라인 구축 방안이 소개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 문화와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로드맵을 구상 중이신 모든 HRD분들께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할 것입니다.

 

에이블런 | 박진아 대표

현) 주식회사 에이블런 대표이사


비전공자 대상 AI/DX 교육 사업을 총괄하며, 400개 이상의 조직을 대상으로 핵심 교육과정 설계와 성과를 입증해왔습니다. 기술 경영 전문가로서, 데이터 기반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통해 행정안정부 표창을 수상하고 기업 디지털 전환 실적을 통해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까지 정부 부처 장관 표창을 연이어 수상했습니다. 대표 저서로는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씽킹》, 《일잘러의 엑셀 데이터 분석》이 있습니다

speaker Bio image

[Special Speech2]프로텍터십 – 우리는 서로의 버팀목이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브랜드 닥터지를 필두로 10년간 22배 매출 증가, 신입 공채입사 경쟁률 300:1, 임직원 평균 합계출산율 2.7명 등 재무와 조직문화 전 부문에서 혁신적인 경영 성과를 만들어 왔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이 보유한 성과의 바탕에는 경영철학 ‘프로텍터십’이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었다. ‘프로텍터십’이란 기업과 직원이 서로가 서로를 지키며 성장하는 관계를 뜻한다. 프로텍터십이 발현된 조직이란 회사가 직원을 보호하고, 직원과 직원이 서로를 지키는 존재가 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이주호 대표는 회사가 직원을 보호한다는 것은 다니기 편한 회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자립 가능한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도전적인 환경을 제시하고 성장을 지원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한다.

 

고운세상코스메틱 | 이주호 대표

현) ㈜고운세상코스메틱 대표이사
현) 성남시상공회의소 의원
현) 사단법인 교육의 봄 ‘스펙다이어트캠페인’ 공동대표
전) ㈜고운세상코스메틱 부사장
전) ㈜고운세상코스메틱 COO

2014년 고운세상코스메틱에 합류한 이주호 대표는 2020년 부사장, 2022년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과감한 혁신 정신과 전략적인 안목으로 회사의 가파른 성장을 이끌어냈습니다. 이 대표는 군납 시장 입점, 오프라인 판매 채널 재편, 베스트셀러 제품군 육성 프로젝트 등을 성공적으로 성사시켰습니다. 그 결과, 이주호 대표가 합류한 이래, 지난 10년간 고운세상코스메틱의 매출은 22배가량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고운세상코스메틱의 성장 뒤에는 이주호 대표이사가 강조한 회사와 직원이 서로를 지키는 ‘프로텍터십’ 경영철학이 있었습니다.